목록낙서장 (297)
이쁜왕자 만쉐~~
브이 는 미디어다음 에 제피 (또는 제피가루) 라는 분이 연재하고 있는 만화이다.. http://cartoon.media.daum.net/list/group1/v/cartoonlist.do?mn=23370&su=1 나도 만화가라는 섹션에 4부짜리 단편 을 연재한 걸 계기로 정식으로 (주)로보트태권브이 와 정식으로 계약을 해서 장편으로 연재중이라고 한다.. 4부작 단편 링크 http://mbbs.media.daum.net/cartoon/debut/griffin/cartoondo/cartoon/debut/list?bbsId=c_debut&pageIndex=1&searchKey=daumname&searchValue=%C1%A6%C7%C7%B0%A1%B7%E7 여튼 이 작품은,, 과거의 기억을 아른아른 되살리기..
요즘 SKT 에서는 T 라는 뭔가를 열심히 광고한다.. 그리고,, 한때 KTF 에서는 Na 라는 걸 열심히 광고했었다.. 이 둘이 절묘하게 겹치면서.. 이 말이 자구 연상된다.. T 는 놈 위에 Na 는 놈 뭐 그냥 그렇다.. - 이쁜왕자 - - Valken the SEXy THief~~ ^_* - ps> 난 LGT 쓴다..
파일로 부터 정보를 읽은 뒤,, 이를 가공해서 출력해 주는 루틴이 있다.. 그런데,, 장비가 부팅된 뒤 처음 이 정보를 읽으면 정상적으로 정보가 읽히지 않는다.. 첫번째 읽을때는 안되지만,, 두번째 부터는 언제 그랬냐는 듯 제대로 정보가 출력된다.. 아무리 디버깅 해봐도,, 도대체 이유를 알 수가 없다.. 별수 있나?? 이럴때 필요한 게 Plan B 이다.. 장비가 부팅된 뒤 무조건 한번 읽는 루틴을 추가 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실패 했다.. 추정컨데,, 장비가 부팅된 뒤,, 어느정도 시간이 흐른뒤 정보를 읽어야 하는듯 싶다.. Plan B 에 디버깅 따위는 없다.. 그래서,, Plan C 를 적용했다.. 사용자 명령에 의해서 읽을때,, 파일로 부터 정보 읽는 걸 2번 반복하도록 수정했다.. 다행..
매 5초마다 통계값을 읽은 뒤, 이 값을 5로 나눠서, 초당 평균값으로 사용한다.. Timer thread 는 비교적 정확히 5초마다 event 를 발생시켜 준다.. 하지만,, 느려터진 CPU 는 다른 프로세스에게 발목 잡혀 한참 뒤에서 통계 처리를 수행한다.. 이 덕분에 초당 평균값을 실제값보다 높게 나온다.. 처음에야 근사값만 필요했으니, 이정도 오차는 눈감아 줄만했다.. 그런데, 비교적 정확한 평균값을 내달라는 요구사항이 들어 왔다.. 정석적으로 해결을 하고자 한다면,, 통계값을 읽는 순간의 시간 정보를 읽어서,, millisecond 레벨에서 값을 보정하면,, 충분히 정확한 평균값이 나온다.. 불행히도,, 이렇게 바꾸기에는 너무 많은 걸 수정해야 한다.. 결국,, CPU 가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서..
위 사진과 같이 깔대기 형태의 XXX 에 여과지(필터) 를 얹고,, 원두 커피를 넣은 뒤,, 뜨거운 물을 부어서 내려 먹는 커피의 이름은 무엇인가 ?? 1) 드립 커피 ( drip coffee ) 2) 드랍 커피 또는 드롭 커피 ( drop coffee ) 드립 은 영어로 drip 이다.. 그리고,, 드랍 은 영어로 drop 이다.. 그리고,, drop 의 영국식 발음은 드롭 이다.. 이 두개의 단어는 철자도 거의 비슷하고,, 심지어 의미까지 거의 비슷하다.. 대표적인 검색 엔진인 구글과 네이버로 검색해 본 결과 수 많은 사람이 드립 과 드랍 을 혼동해서 쓰고 있다.. 일단 재미 삼아,, googlefight.com 에 단어를 넣어 봤다.. googlefight.com 은 구글 검색 결과에 얼마나 더 많..
http://news.kbs.co.kr/article/news8/200702/20070206/1296944.html KBS 뉴스 를 비롯해 주요 일간지에서 마구 찍어낸 바로 이 뉴스.. 한달에 6000원 정도를 절약하는 방법이라고 나온 종료 버튼 누르기.. 근데,, 이게 낚시라는게 문제다.. http://boom.naver.com/SubSectionMain.nhn?iFrame=BoardRead&categoryId=1&articleNum=20051201105206870 이 이야기가 처음 나온게 무려 2002년이고,, 여전히 재생산되어,, KBS 뉴스에까지 나오니,, 웃기지 않을 수 없다.. http://www.betanews.net/bbs/read.html?tkind=1&lkind=6&mkind=201&p..
www.valken.com/60 아티클의 경우, 이미지에 마우스 클릭하면, 이미지 브라우저가 새창으로 뜹니다. 하지만,, www.valken.com/61 아티클의 경우, 이미지에 마우스 클릭해도, 이미지 브라우저는 뜨지 않습니다. 경험적으로 이미지 브라우저는 화면사이즈 보다 이미지 사이즈가 더 큰 경우에 화면상에 이미지를 작게 보여주고, 대신 링크를 걸어 원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 두 아티클에서 사용한 이미지는 가로 사이즈가 600px 로 동일입니다. 어떤 이유로, 한 곳에서는 이미지 브라우저가 뜨고, 다른 한곳에서는 뜨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이쁜왕자 - - Valken the SEXy THief~~ ^_* -
타이어 회사 GOOD YEAR 는 □□□□ 도 만든다... 선명하게 찍혀 있는 GOOD YEAR 라는 로고.. 이는 분명히 타이어 회사의 로고 입니다.. 그럼 이 사진은 타이어 일까요?? AQUATRED 라는 단어로 검색해 보아도,, GOOD YEAR 타이어의 한 브랜드로 나옵니다.. 그럼 저 사진은 정말 타이어일까요?? 무엇일지 추측해 보십시오.. 믿거나 말거나 구두 밑창입니다.. 이것은 금강제화의 한 브랜드인 랜드로버 (LANDROVER) 가 세일할때 낼름 샀던 바로 그 구두입니다.. 사알짝 키높이 효과가 있는 구두인지라 나름 맘에 드는 구두입니다.. 그러나,, 구두를 운동화처럼 신는 주인의 특성으로 인해서 밑창이 그대로 나가 버렸습니다.. 구두 밑창 가는데 얼마 안드는 데 바꾸는 게 어떻겠냐는 구두..
오래된 게시판을 뒤지다가 나온 내용을 좀더 알기 쉽게 풀어 씁니다.. 모 대학은 학과가 달랑 2개 밖에 없습니다.. 전산과 와 기계과.. 전산과는 10명의 남학생과 100명의 여학생이 있습니다.. 기계과는 100명의 남학생와 10명의 여학생이 있습니다.. 전산과는 학점을 좀 잘 주는 경향이 있어서,, 5명의 남학생과 40명의 여학생이 A 를 받았고, 나머지는 B 를 받았습니다.. 기계과는 학점을 좀 짜게 주는 경향이 있어서,, 30명의 남학생과 2명의 여학생이 A 를 받았고, 나머지는 B 를 받았습니다.. 통계를 내어 살펴 보니,, 전산과 남학생의 50% 가 A 를 받은 반면,, 여학생의 40% 가 A 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기계과 남학생의 30% 가 A 를 받은 반면,, 여학생의 20% 가 A 를..